신용카드 추천: 금융사 직원이 말해주는 메인 신용카드 고르는 방법 3가지

과거 물물교환으로 시작해서 조개, 동전, 지폐를 거쳐 화폐시장은 신용카드라는 혁명적인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고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간편결제, 웨어러블결제, 생체결제도 결국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만큼 신용카드는 화폐시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우리 생활금융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사람은 신용카드를 쓴다.
한 사람이 한 평생 쓴 신용카드 금액을 합치면 아파트 전세값은 나올 것이고, 이에 따라 알게 모르게 쌓이고 날아간 혜택 들은 월세값 정도는 될 것이다.
즉 신용카드는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그에 못지 않게 혜택도 절대 무시할 수 없다.

자, 그럼 지금 내 지갑에, 내 핸드폰에 들어 있는 신용카드를 봐보자. 나는 지금 왜 이 신용카드를 쓰고 있는걸까?
이 글에서는 보통 사람들이 보통 쓰는 카드 즉, 메인 신용카드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 메인 신용카드란?
특별히 뭘 사거나 어딜 갈 때 쓰는 게 아니라 그냥 동네 편의점에서 껌 사 먹거나 애들이랑 오뎅 사 먹을 때 쓰는 지갑(페이)에서 가장 먼저 손이 가는 카드
FYI) 특화카드(↔메인카드): 특정 가맹점(ex.쿠팡)에서만 혜택이 높고 다른 곳에서는 혜택이 없는 카드

신용카드

메인 신용카드 선택 기준 

 1. 카드사 선택

카드사는 크게 전업계와 은행계로 나뉜다.
쉽게 말하면 은행도 있고 카드도 있으면 은행계이고 (신한, 국민, 하나, 우리)
카드만 있으면 전업계이다. (삼성, 현대, 롯데, BC)
이 얘기를 왜 처음 하냐면 카드사를 정하는 가장 쉽고 간단한 기준은 <현재 대출이 있는 은행의 카드>이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우리은행에 대출이 있으면 우리카드를 쓰면 금리 할인을 해준다.

그러니깐 대출이 있는 사람이면 그 은행 카드 써라 그게 젤 좋다.

그게 아니라면.. 개인의 선호에 맞게 선택을 해야 하는데 각 카드사별 특징과 대표 카드를 말하면 아래와 같다.

· 신한: 대중적임, 카드 자체가 좋은 상품이 많음
→ 대표 카드: Mr.Life

· 삼성: 신세계 계열(백화점, 이마트 등)쪽 혜택 많음
→ 대표 카드: taptap O

· 현대: 메인카드로는 비추 (특화 카드가 많음)
→ 대표 카드: 현대카드M

· KB: 대중적으로 혜택이 있는 가맹점이 많음
→ 대표 카드: My WE:SH

· 롯데: 롯데 계열(백화점, 아울렛, 마트 등)쪽 혜택 많음
→ 대표 카드: LOCA365

· 하나: 여행(항공, 면세, 마일리지)쪽 혜택 많음
→ 대표 카드: ONE THE CARD

· BC, 우리, NH: 특별히 구별되는 특징은 없음

요즘은 신용카드가 하향 평준화 되어 과거에 진리카드라고 불렸던 카드들은 다 단종되었다.
카드 간의 특징은 대동소이하니 우선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카드사를 선택하고 그 후에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2. 카드 선택

카드 상품을 하나하나 분석하기엔 무리가 있다. 대신 굵직 굵직한 조건들을 제시하니 이것을 기준으로 정하면 나쁘지 않을 거다.

· 적립형: 할인형보다 적립형이 혜택이 더 좋다. 어차피 요즘은 적립된 포인트(머니)로 결제도 하고 계좌송금도 되어서 할인이랑 별반 차이 없다.
그래도 카드사에서는 곧장 할인 해주는 것보다 적립 해주는 걸 선호하기 때문에(자기네 앱에 한명 이라도 더 들어오게 하려고) 적립에 더 힘을 준다.

· 전월실적: 전월실적(혜택을 받기 위해 전월에 써야 하는 금액)이 높으면 아무리 혜택이 좋아도 혜택을 못 받을 수 있다. 전월 실적이 높지 않은 상품 선택이 좋다.

· 연회비: 연회비가 높으면 혜택이 좋다. 웬만한 카드는 연회비만큼 바우처 같은 걸로 연회비만큼 보존도 해준다. 그러니 꾸준히 쭉 쓸 계획이면 연회비가 좀 높더라도 프리미엄 라인의 카드를 쓰는 게 좋다

· 생활밀착형: 메인카드를 마일리지(대한항공, 아시아나 마일리지 적립) 카드로 쓰는 사람도 있다. 여행을 겁나 많이 다니면 인정. 하지만 아니라면 그냥 생활에서 쓰이는 혜택 위주의 카드가 좋다.
마트 통신 커피 교통 이런 혜택이 있는게 메인카드로는 좋다
※ 마일리지 카드에 대해서는 추후 다시 포스팅 예정

 3. 결제 수단 선택

카드사와 카드를 정했다면 앞으로 어떻게 결제할지 정하는 게 좋다.
요즘은 아이폰 유저가 아닌 이상 대부분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하는데 결제 수단은 삼성페이 외에도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등 결제 수단이 엄청 많다.
이런 애들(간편결제사)도 먹고 살기 위해 자기 앱을 유도하기 위한 혜택들을 엄청 넣고,
여기에 카드사들도 자사 앱 유도를 위해 열을 내고 있으니 잘 선택하면 카드 혜택 외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NO 삼성페이: 삼성페이는 편한 만큼 아무런 부가 혜택이 없다. 넘 귀찮지만 않으면 딴 거 쓰자

· 카드사 자사 앱: 예를 들어 국민카드는 KB페이로 결제한다는 조건 하에 주는 혜택이 꽤 많다. 그럼 KB페이 써야지..
그리고 요즘은 웬만하면 삼성페이 형식(mst)부터 바코드 QR 등 자사 앱도 모든 가맹점에서 결제가 다 되니깐 크게 불편하지 않다. 삼성페이처럼 화면 밑에서 끌어 올려서 쓰는 것만 안될 뿐..

· 간편결제: 간단히 말하면 카카오페이는 혜택 적고 네이버페이 혜택 많다. 토스나 페이코 같은 비주류 간편결제사들도 잘 찾아 보면 혜택 많다. 잘 모르겠으면 솔직히 나는 네이버페이 추천한다.

 

지금까지 메인 신용카드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별 생각 없이 쓰는 카드가 사실 젤 많이 쓴다. 그만큼 간단해 보이지만 중요하니 잘 참고해서 카드 혜택을 쫙쫙 빼먹자!

Leave a Comment